범주: 1214.물권>지상권
56. 乙소유의 토지에 설정된 甲의 지상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8년 기출]
① 甲은 그가 乙의 토지에 신축한 X건물의 소유권을 유보하여 지상권을 양도할 수 있다.
② 甲의 권리가 법정지상권일 경우, 지료에 관한 협의나 법원의 지료결정이 없으면 乙은 지료연체를 주장하지 못한다.
③ 지료를 연체한 甲이 丙에게 지상권을 양도한 경우, 乙은 지료약정이 등기된 때에만 연체사실로 丙에게 대항할 수 있다.
④ 乙의 토지를 양수한 丁은 甲의 乙에 대한 지료연체액을 합산하여 2년의 지료가 연체되면 지상권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⑤ 甲이 戊에게 지상권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지료연체를 원인으로 하는 乙의 지상권소멸청구는 戊에게 통지한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함으로써 효력이 생긴다.
정답 : ④
| 유형 1. 지상권 |
▣ 해설
① 지상권은 독립된 물권으로서 다른 권리에 부종함이 없이 그 자체로서 양도될 수 있으며 그 양도성은 절대적으로 보장되고 있으므로, 소유자의 의사에 반하여도 자유롭게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다. (대법원 90다15716)
② 법정지상권의 경우 당사자 사이에 지료에 관한 협의가 있었다거나 법원에 의하여 지료가 결정되었다는 입증이 없다면, 법정지상권자가 지료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지료 지급을 지체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대법원 99다17142)
③ 지료액, 지료지급시기 등 지료에 관한 약정은 이를 등기하여야만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으므로, 지료의 등기를 하지 않은 이상 토지소유자는 구 지상권자의 지료연체 사실을 들어 지상권을 이전받은 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대법원 95다52864)
④ 지상권자의 지료 지급 연체가 토지소유권의 양도 전후에 걸쳐 이루어진 경우 토지양수인에 대한 연체기간이 2년이 되지 않는다면 양수인은 지상권소멸청구를 할 수 없다. (대법원 99다17142)
즉, 연체기간 계산 시 甲의 乙에 대한 지료연체를 합산해서는 안된다.
⑤ 지상권이 저당권의 목적인 때 또는 그 토지에 있는 건물, 수목이 저당권의 목적이 된 때에는 지상권소멸청구는 저당권자에게 통지한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제288조)
▶ 해설 추천 동영상
'공인중개사 기출문제 DB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18년기출.(58) 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8.10 |
---|---|
민법.18년기출.(57) 점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8.10 |
민법.18년기출.(55) 공동소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8.10 |
민법.18년기출.(54) 물권적 청구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8.10 |
민법.18년기출.(53) 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