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1213.물권>소유권
58.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9년 기출]
① 공유자 전원이 임대인으로 되어 공유물을 임대한 경우, 그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유물의 보존행위이다.
② 개별 채권자들이 같은 기회에 특정 부동산에 관하여 하나의 근저당권을 설정받은 경우, 그들은 해당 근저당권을 준공유한다.
③ 공유부동산에 대해 공유자 중 1인의 단독 명의로 원인 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가 행해졌다면 다른 공유자는 등기명의인인 공유자를 상대로 등기 전부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④ 과반수지분권자가 단독으로 공유토지를 임대한 경우, 소수지분권자는 과반수지분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 할 수 없다.
⑤ 부동산 공유자 중 1인의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은 그 포기의 의사표시가 다른 공유자에게 도달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하며 등기를 요하지 않는다.
정답 : ②
| 유형 4. 공동소유 |
▣ 해설
① 공유자가 공유물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행위 및 그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행위는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해당한다. (대법원 2010. 9. 9., 2010다37905)
② 소유권 이외의 재산권을 공유하는 것을 준공유라고 한다.
③ 공유자 중 1인이 다른 공유자의 동의 없이 그 공유 토지를 매도하여 타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면, 그 매도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는 처분공유자의 공유지분 범위 내에서는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라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08. 4. 24., 선고, 2008다5073) 따라서, 등기 전부의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
④ 과반수 지분의 공유자는 공유자와 사이에 미리 공유물의 관리방법에 관하여 협의가 없었다 하더라도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과반수 지분의 공유자는 그 공유물의 관리방법으로서 그 공유토지의 특정된 한 부분을 배타적으로 사용·수익할 수 있으나, 그로 말미암아 지분은 있으되 그 특정 부분의 사용·수익을 전혀 하지 못하여 손해를 입고 있는 소수지분권자에 대하여 그 지분에 상응하는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을 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 (대법원 2002. 5. 14., 2002다9738) 따라서, 소수지분권자는 자기지분 범위 내에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 할 수 있다.
⑤ 공유지분의 포기는 법률행위로서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에 해당하므로, 부동산 공유자의 공유지분 포기의 의사표시가 다른 공유자에게 도달하더라도 곧바로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공유자는 자신에게 귀속될 공유지분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취득하며, 이후 등기를 하여야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의 효력이 발생한다. (대법원 2016. 10. 27., 2015다52978)
▶ 해설 추천 동영상
'공인중개사 기출문제 DB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19년기출.(60) 지역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6.29 |
---|---|
민법.19년기출.(59) 甲은 乙은행에 대한 채무의 이행을 담보하고자 그 소유 토지(X)에 乙명의의 저당권과 함께 X의 담보가치 유지만을 위한 乙명의의 지상권을 설정하였다. (0) | 2020.06.29 |
민법.19년기출.(57) 부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6.29 |
민법.19년기출.(56) 등기청구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6.29 |
민법.2019.(55) 점유취득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