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1102.경제론

 


 

11. 부동산에 관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19년 기출]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일 때 수요가 증가할 경우 균형가격은 변하지 않는다.

② 오피스텔에 대한 대체재가 감소함에 따라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아진다.

③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보다 작은 경우 공급자가 수요자보다 세금부담이 더 크다.

④ 임대주택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인 경우 임대주택의 임대료가 하락하더라도 전체 임대료 수입은 변하지 않는다.

⑤ 일반적으로 임대주택을 건축하여 공급하는 기간이 짧을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정답 : ①

| 유형 3. 탄력성 |

▣ 해설

① 가격이 변화했을 경우에 수요가 크게 변화되면 수요는 ‘탄력적’이라고 하며 수요가 그다지 변화하지 않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 | 수요량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

.수요의 가격탄력성 > 1 → 탄력적

. 0 < 수요의 가격탄력성 < 1 → 비탄력적

. 수요의 가격탄력성 = 0 → 완전비탄력적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이 변하지 않음. 수요곡선은 수직)

. 수요의 가격탄력성 = ∞ → 완전탄력적 (가격이 아주 조금만 변해도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함. 수요곡선은 수평)

①번 선지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장이므로 무시하고, 아래 지문으로 학습할 것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일 때 공급이 증가할 경우 균형가격은 변하지 않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일 때 수요가 증가할 경우 균형가격은 변하지 않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② 대체재 감소 → 탄력성 작아짐 :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대체재가 감소하여 해당 재화의 수요를 많이 줄일 수 없으므로 탄력성이 이전보다 작아진다.

(cf) 대체재 증가 → 탄력성 커짐 : 가격이 상승할 경우 대체재를 소비하고 해당 재화의 수요를 줄이므로 탄력성이 이전보다 커진다.

③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다를 경우 탄력성이 더 큰 주체의 세금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적다. 따라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더 작으면, 공급자의 세금부담이 더 크다.

④ 가격 탄력성이 1이면 ‘단위 탄력적’이라고 하고,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가 탄력적이라면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총지출이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총지출이 증가한다.

수요가 비탄력적이라면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총지출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총지출이 감소한다.

수요가 단위탄력적이면 가격이 변해도 총지출은 변하지 않는다. (출처: KDI 경제정보센터)

⑤ 일반적으로 생산이나 공급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 되고, 기간이 짧아질수록 탄력적이 된다.

▶ 해설 추천 동영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