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1232.민특>상가임대차법
77.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년 기출]
①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려는 자는 임대인의 동의 없이도 관할 세무서장에게 해당 상가건물의 임대차에 관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② 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을 중대한 과실로 전부 파손한 경우, 임대인은 권리금회수의 기회를 보장할 필요가 없다.
③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계약갱신을 요구할 수 있으나 전체 임대차기간이 7년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④ 임대차가 종료한 후 보증금이 반환되지 않은 때에는 임차인은 관할 세무서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⑤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 임차인의 계약해지의 통고가 있으면 즉시 해지의 효력이 발생한다.
정답 : ②
| 유형 2. 상가임대차법 |
▣ 해설
①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려는 자는 임대인의 동의를 받아 관할 세무서장에게 해당 상가건물의 임대차에 관한 정보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상가임대차법.§제4조)
② 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을 중대한 과실로 전부 파손한 경우, 임대인은 권리금회수의 기회를 보장할 필요가 없다.(상가임대차법.§제10조의4)
③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최초의 임대차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기간이 10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상가임대차법.§제10조)
④ 임대차가 종료된 후 보증금이 반환되지 아니한 경우 임차인은 임차건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 지방법원지원 또는 시ㆍ군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상가임대차법.§제6조)
⑤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고, 임대인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한다.(상가임대차법.§제10조)
▶ 해설 추천 동영상
'공인중개사 기출문제 DB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19년기출.(79)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8.09 |
---|---|
민법.19년기출.(78)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8.09 |
민법.19년기출.(76) 甲이 그 소유의 X주택에 거주하려는 乙과 존속기간 1년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8.09 |
민법.19년기출.(75) 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0.08.09 |
민법.19년기출.(74) 임차인 甲이 임대인 乙에게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