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기출문제 DB/민법

민법.17년기출.(69)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우주랩스 2020. 8. 21. 17:27

범주: 1222.채권>계약>매매


69.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7년 기출]

① 건축의 목적으로 매수한 토지에 대해 법적 제한으로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어 건축이 불가능한 경우, 이는 매매목적물의 하자에 해당한다.

② 하자담보책임으로 발생하는 매수인의 계약해제권 행사기간은 제척기간이다.

③ 하자담보책임에 기한 매수인의 손해배상청구권도 소멸시효의 대상이 될 수 있다.

④ 매도인이 매매목적물에 하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를 매수인에게 고지하지 않고 담보책임 면제의 특약을 맺은 경우 그 책임을 면할 수 없다.

⑤ 매도인의 담보책임은 무과실책임이므로 하자의 발생 및 그 확대에 가공한 매수인의 잘못을 참작하여 손해배상 범위를 정할 수 없다.


정답 : ⑤

| 유형 2. 매도인의담보책임 |

▣ 해설

① 매매의 목적물이 거래통념상 기대되는 객관적 성질·성능을 결여하거나, 당사자가 예정 또는 보증한 성질을 결여한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그 하자로 인한 담보책임을 부담한다 할 것이고, 한편 건축을 목적으로 매매된 토지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어 건축이 불가능한 경우, 위와 같은 법률적 제한 내지 장애 역시 매매목적물의 하자에 해당한다. 위와 같은 하자의 존부는 매매계약 성립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98다18506)

② 민법상 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기간은 제척기간으로서 재판상 또는 재판 외의 권리행사기간이며 재판상 청구를 위한 출소기간이 아니다. (대법원 2000다15371)

이 기간은 제척기간이므로 재판상 또는 재판 외에서 권리를 행사하면 되고, 반드시 이 기간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③ 매도인에 대한 하자담보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는 제582조의 제척기간이 적용되고, 이는 법률관계의 조속한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데에 취지가 있다. 그런데 하자담보에 기한 매수인의 손해배상청구권은 권리의 내용·성질 및 취지에 비추어 제162조 제1항의 채권 소멸시효의 규정이 적용되며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수인이 매매 목적물을 인도받은 때부터 소멸시효가 진행된다. (대법원 2011다10266)

④ 매도인은 담보책임을 면하는 특약을 한 경우에도 매도인이 알고 고지하지 아니한 사실 및 제삼자에게 권리를 설정 또는 양도한 행위에 대하여는 책임을 면하지 못한다.(§제584조)

⑤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은 법이 특별히 인정한 무과실책임으로서 여기에 과실상계 규정이 준용될 수는 없다 하더라도, 담보책임이 민법의 지도이념인 공평의 원칙에 입각한 것인 이상 하자 발생 및 그 확대에 가공한 매수인의 잘못을 참작하여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함이 상당하다. (대법원 94다23920)

▶ 해설 추천 동영상